2025 명절 고속버스 예매 가이드: 고속버스 티머니·코버스·버스타고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기로로 입니다. 오늘은 2025 명절 고속버스 예매를  풀어서 정리해볼게요. 저는 설·추석마다 고속버스를 ‘세이프 플랜’으로 잡아두는데, 올해도 언제·어디서·어떻게 예매하면 덜 스트레스 받을지 제 루틴을 그대로 적었습니다. 본문만 캡처해서 체크리스트처럼 보셔도 좋아요.

명절 고속버스 예매 달력과 버스 아이콘 인포그래픽

 

① 2025 명절 예매 일정 패턴 이해하기

 

정확한 오픈 시각은 매년 공지로 확정되지만, 패턴을 보면 설은 1월 초, 추석은 8월 중순 전후로 예매가 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4년 추석에는 8월 13일(화) 오전 10시에 예매가 시작됐고, 이런 흐름을 올해도 참고하면 좋아요. 다만 최종 시간은 공식 공지를 꼭 재확인하세요.

 
일정 확인 팁 
예매 2~3일 전부터 고속버스 앱·웹 공지와 알림을 켜두세요.
시작 시각이 앞당겨지거나 시스템 점검이 잡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매 채널과 준비물: 고속버스 티머니·코버스·버스타고

 

고속버스 티머니는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터미널협회가 함께 운영하는 공식 모바일 앱이라 예매·결제·모바일 승차권(E-Pass)까지 한 번에 됩니다. 안드로이드·iOS 모두 지원해요.

 

코버스(KOBUS)는 고속버스 통합 예매 웹 채널, 버스타고는 주로 시외·좌석버스 권역 예매 웹/앱입니다. 명절 이동은 노선에 따라 두 채널 중 어디에 편성되는지 달라서, 둘 다 즐겨찾기해두는 게 안전합니다.

 

고속버스 티머니 앱, 코버스 웹, 버스타고 웹 채널 비교 아이콘

 

③ 예매 당일 루틴: 대기 → 조회 → 결제 → 예비안

 

예매 10분 전 한 기기·한 브라우저로 대기해요. 시작되면 편도 먼저 빠르게 조회하고, 없으면 즉시 ±1~2시간대와 인접 터미널로 재조회합니다. 왕복은 두 번째에. 결제수단은 미리 등록해두고, 중복예매는 최소화합니다(취소 수수료가 생길 수 있어요).

 

놓쳤다면 예약대기를 걸어둔 뒤, 결제 마감 직후·퇴근시간(18~19시)·자정 전후에 다시 확인해요. 이 시간대에 취소표가 자주 돌아옵니다. (앱 알림 필수!)

 

알림 켜기, 프리셋 저장, 시작 즉시 조회 등 3단계 인포그래픽
알림→프리셋→즉시조회. 단순하지만 확실한 3단계.

 

④ 2025년 취소·환불 수수료 변화 핵심

 

올해 5월부터 국토교통부가 고속버스 취소 수수료 기준을 개편했습니다. 평일·휴일·명절을 구분하고, 출발 후 취소 수수료는 단계적으로 상향(기존 30%→정책 개정)됐어요. 명절엔 특히 노쇼 방지를 위해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세부 비율은 예매 채널 공지와 함께 확인하세요.

 

상황 일반 적용 예시 메모
출발 2일 전까지 수수료 없음(예시) 채널·공지 기준 확인
출발 전날~출발 1시간 전 5~10% (예시) 명절·휴일 구분 가능
출발 1시간 이내(출발 전) 10~30% (예시) 노선별 상이
출발 후~도착 예정 전 30% 이상 2025년 개편으로 상향
도착 이후 환불 불가(100%) 부도(노쇼) 처리

 

⑤ 좌석·등급·결제 실전 팁

 

  • 등급 선택: 일반·우등·프리미엄 순으로 요금과 편의가 달라집니다. 장거리·야간은 우등 이상 추천.
  • 터미널 유연성: 서울(센트럴·남부)·수도권·광역 대체 터미널을 후보로 저장하면 성공률↑.
  • 모바일 승차: 모바일티켓(E-Pass)로 바로 탑승 가능—창구 발권 없이 단말기에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