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교과서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완벽 가이드

by gilgreen62 2025. 8. 14.
반응형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기로로 입니다.

오늘은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차분히 정리해드릴게요.

해마다 용어와 기준이 낯설게 느껴지지만, 흐름을 알고 보면 준비 순서가 선명해집니다.

 

저는 먼저 평가요소를 이해하고, 다음으로 서류/면접 방식을 확인한 뒤,

마지막에 올해(2026학년도) 변화지원 체크리스트를 붙여둡니다.

글의 근거는 대학정보포털 어디가(ADIGA)와 대교협·교육부 공식 안내를 기준으로 확인했어요. 

 

학생부종합전형 핵심 아이콘: 학업역량·전공적합성·발전가능성·인성
핵심은 ‘무엇을 평가하는가’를 먼저 이해하는 것입니다.

 

1) 학종이 뭔가요? — 전형유형과 평가요소 4가지

 

학종은 학생부 중심의 종합평가 전형으로,

대학·전형별 기준에 따라 학업역량·전공(계열)적합성·발전가능성·인성을 종합적으로 본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어디가(ADIGA)의 전형정보 검색에서 전형유형=학생부위주(종합)로 필터링해 대학별 기준을 비교할 수 있어요.

학교·학과·전형 페이지에서 모집요강과 연결되니, 지원 전 우리 조건에 맞는 전형을 빠르게 좁힐 수 있습니다. 

 

평가항목의 이름은 대학마다 조금씩 달라도, 위 4요소 체계로 정리해 공개하는 곳이 많습니다.

입학처 자료·입시기관 안내에서도 같은 축으로 설명하니,

우리 아이의 활동·세부능력특기사항(세특)·교과 성취를 이 축에 맞춰 점검하면 이해가 쉬워집니다.

결론: 같은 학종이라도 ‘대학별 기준’이 다르다 → 어디가/요강으로 최종 확인이 정석입니다.

 

학종 평가요소 축: 학업역량·전공적합성·발전가능성·인성
대학마다 명칭·비중은 다르지만, 4가지 축으로 정리하면 준비가 쉬워요.

 

2) 서류·면접은 어떻게 보나요? — 서류평가/면접형 구조와 2024~

 

학종은 보통 서류평가(학생부 중심)와 면접(서류기반·제시문기반 등)으로 운영됩니다.

2024학년도부터 자기소개서가 전면 폐지되어, 학생부 기록의 충실성·일관성이 더욱 중요해졌고,

면접 자료도 학생부 기반 비중이 커졌습니다.

서류목록·면접유형·반영비율은 대학별로 다르니, 어디가에서 해당 전형을 찾고 입학처 요강 PDF를 반드시 대조하세요. 

 

최근 입학처 안내에서는 서류형/면접형으로 트랙을 나누거나, 서류 100% 후 면접 최종 확인 등 대학별 운영이 다양합니다.

같은 대학 안에서도 모집단위별 비중·최저 유무가 다를 수 있으니 전형명(예: 일반, 지역균형, 고른기회 등)과

세부 조건을 같이 보시는 게 안전합니다. 

 

서류평가와 면접 흐름도: 학생부 기반 서류 → 서류기반 면접(필요 시)
자소서 폐지 이후엔 학생부·면접(서류기반)의 연결성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3) 2026학년도 포인트 — 학교폭력 조치사항 의무 반영 등 정책 변화

 

2026학년도 전형 기본사항·시행계획에 따르면 수시=학생부 위주, 정시=수능 위주 기조는 유지됩니다.

특히 학교폭력 조치사항의 학생부 반영이 의무화되어, 대학은 반영 방법을 전형계획과 요강에 명확히 안내하게 됩니다.

이는 학종(학생부)·교과·논술·실기(실적) 등 여러 전형에 해당하므로,

우리 전형의 반영 방식이 어떻게 고지됐는지 꼭 확인하세요. 

 

또한 어디가 자료실엔 2026 지역별 수시 요약·전공자율선택제

새 글이 업데이트되어 지역/대학별 전형 운영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만 실제 적용은 대학 공지·요강이 최종본이므로,

포털→입학처 순서로 교차 확인하세요. 

 

4) 지원전략 & 체크리스트 — 학종 준비를 실수 없이

 

전형 탐색

어디가 전형정보에서 학생부위주(종합) 필터→우리 성적·활동과 맞는 전형 후보 5~7개 선정.

 

평가요소 맵

활동·세특을 학업/전공/발전/인성 네 칸에 배치해 공백·중복 점검.

 

서류 정합성

 활동명·기간·역할·성과를 학생부 문장과 정확히 맞추기(일관성·진실성 우선).

 

면접 대비

서류기반 문항(활동 동기·과정·배운 점) 30~60초 핵심근거 스피치로 반복 연습.

 

마감 관리

대학별 접수·서류·면접·발표 캘린더화, 수험표·영수증 PDF+인쇄 이중 보관.

부모님 뷰에서는 세 가지만 잡아두면 마음이 편합니다.

 

첫째, 전형명과 자격/최저/면접 유무를 표로 정리.

둘째, 아이의 강점(세특·활동)과 전형 평가요소의 연결성 체크.

셋째, 발표·등록·충원까지 일정 알림 설정.

 

이 기본기를 지키면, 변동이 있어도 요강만 다시 확인해 바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근거 & 참고

  1. 어디가(ADIGA) 전형정보 검색: 전형유형(학생부위주·종합) 필터 제공 및 대학별 기준 열람. 
  2. 어디가 자료실: 2026 지역별 수시모집 요약·전공자율선택제 등 최신 문서. 
  3. 교육부 보도자료(2026 전형시행계획): 수시/정시 기조 및 학교폭력 조치사항 의무 반영
  4. 대교협 공표(2026 전형시행계획): 대학별 전형 수립 원칙·일정 안내. 
  5. 자기소개서 전면 폐지(’24학년도부터): 관련 보도·해설 자료.
  6. 학종 평가요소(학업·전공적합성·발전가능성·인성) 설명 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