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교과서

논술전형 일정·기출 완벽 가이드

by gilgreen62 2025. 8. 13.
반응형

 

 

 

 

논술전형 일정·기출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기로로 입니다. 오늘은 논술전형 일정·기출을 부모님과 수험생이 함께 보기 좋게 정리해드릴게요.

논술은 학교별로 고사 날짜·유형·시간·지정 과목이 달라서, 출발점을 잘 잡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저는 늘 어디가(ADIGA)에서 전형 정보를 훑고, 각 대학 입학처 공지에서 일정과 유의사항을 확정한 뒤,

기출·모의논술로 훈련 루틴을 짜라고 말씀드려요.

아래 순서를 그대로 따라오시면, 마감 스트레스 없이 안정적으로 준비하실 수 있을 거예요.

(공식 포털·입학처 자료로 교차검증)

 

어디가 전형 검색 → 대학 입학처 공지 확인 → 개인 캘린더 등록 순서 다이어그램

 

1) 논술전형 일정: 어디서, 어떻게 확인하나요? (어디가·입학처 기준)

 

일정은 대학별로 발표됩니다.

먼저 어디가(ADIGA)에서 대학·전형을 검색해 전형 기본사항을 확인하고,

세부 일정·고사 시간·고사장 안내는 반드시 각 대학 입학처 공지로 확정합니다.

어디가의 전형/대학 검색 화면은 전형 정보 탐색에 특화되어 있고, 대학 링크로 바로 넘어갈 수 있어요.

이 흐름을 지키면 “전형은 포털에서 구조 파악, 일정은 입학처에서 최종확정”으로 착오를 줄일 수 있습니다. 

 

팁을 덧붙이면, 대학 입학처 공지에는

고사 시간(분), 출제 범위, 반입 금지 물품, 신분증, 입실 마감 같은 필수 문구가 들어 있습니다.

예시로 성균관대는 논술 기출/모의논술과 함께 안내를 꾸준히 게시해 왔고, 고사 운영 방식이 명확하게 정리됩니다.

다른 대학들도 비슷한 구조로 공지하니, 지원 대학 페이지를 즐겨찾기해 두고 캡처·PDF 보관까지 해두세요. 

 

어디가 전형 검색 → 대학 입학처 공지 확인 → 개인 캘린더 등록 순서 다이어그램
어디가로 전형 파악 → 입학처 공지로 날짜 확정 → 개인 캘린더에 등록.

 

2) 기출·모의논술은 어디서 받나요? (입학처·어디가 링크 활용)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출처는 각 대학 입학처입니다.

‘기출문제’, ‘모의논술’, ‘논술가이드북’ 메뉴에서 문제·해설·채점 기준을 PDF로 내려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성균관대는 논술우수전형 기출문항모의논술 문제/해설을 연도별로 공개하고 있고,

동덕여대 등도 ‘논술 가이드북’ 및 전년도 기출 PDF를 자료실에서 제공합니다.

링크는 대학 공식 페이지가 최우선입니다. 

 

정리하면,

① 입학처 자료실(기출/모의/가이드북) →

② 어디가 전형 페이지(전형 조건·유의사항) →

③ 본인 노트로 핵심 문항형 정리. 블로그·커뮤니티도 참고할 수 있지만,

최종 정답·채점 기준은 입학처 문서를 우선하세요.

 

복습 시에는 “문제 → 시간 제한 풀이 → 공식 해설·채점 기준 대조 → 오답 노트” 순서를

고정 루틴으로 두면 실력이 빠르게 올라갑니다.

 

3) 유형별 학습 루틴: 언어/통합논술 vs 수리논술

 

언어/통합논술은 제시문 독해·논지 구조화가 핵심입니다.

기출을 풀 때는 ① 문제 요구(논제)를 동사까지 정확히 파악

② 제시문 간 관계(대조/보완/적용)를 표시

③ 도식화(서론–본론–결론)로 논지 흐름을 정리

④ 문단 첫 문장에 논지의 핵심을 배치

⑤ 예시·근거는 제시문에서 인용하되 자기표현은 과감히 줄이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배점·채점표를 늘 옆에 두고 “감점 요소 (논지일탈/분량미달/표현오류/자료왜곡)”를 체크하세요.

 

수리논술풀이 과정의 논리 전개가 성패를 가릅니다.

답만 맞아도 서술이 빈약하면 감점이 큽니다.

출제 범위·시간은 대학마다 조금씩 다르니, 입학처 가이드북을 기준으로 범위를 확정하세요(예: 수학Ⅰ/Ⅱ/미적분/확통 등)

실제로 일부 대학(예: 서울과기대)은 가이드북·기출에서 대문항 구성, 시간(예: 100분), 출제 범위를 명시합니다.

본인 수준을 반영해 한 세트(최근 3개년)를 시간 제한으로 풀고, 해설과 답안을 문장 단위로 비교하세요. 

 

언어/통합논술·수리논술 학습 루틴 체크리스트 인포그래픽
언어/통합: 논제 파악→구조화→근거 인용, 수리: 논리 전개→서술 완성→채점표 대조.

 

4) 부모님·수험생 체크리스트 (저장용)

 

전형명·모집단위를 정확히 확인(같은 대학도 전형별 조건 다름)
어디가로 전형 파악 후, 입학처 공지에서 고사 날짜·시간·장소·반입물품·입실 마감 확정
기출·모의논술은 입학처 자료실 PDF 우선(문항·해설·채점기준까지 확인)
④ 시험 2주 전부터는 실전 시간에 맞춘 세트 연습(최근 3개년→빈칸 분석→서술 보완)
⑤ 시험 전날: 수험표·신분증·필기구·입실 마감 시간 재확인, 고사장 이동 동선(대중교통/주차) 체크
⑥ 시험 당일: 문제지 스캔(논제 요구)→시간 배분표 적용→답안 마무리 체크(표기·단위·결론문장)

 

 

근거 & 참고(교차검증)

  1. 대학정보포털 어디가(ADIGA) 전형·대학·학과 검색(공식 포털)
  2. 어디가 초보자 가이드(관심전형 비교·대학별 점수 산출 연결 흐름)
  3. 성균관대 입학처 논술 기출/모의논술 공개(연도별 자료)
  4. 동덕여대 입학처 자료실: 논술 가이드북·기출 PDF 제공 사례
  5. 서울과학기술대 논술 전형 안내(수리논술 범위·시간 등 가이드 사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