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정책 활용법

태극기 다는 법, A부터 Z까지 완벽 정리 (게양일, 조기, 시간, 위치)

gilgreen62 2025. 8. 16. 16:58
반응형

 

태극기 다는 법, A부터 Z까지 완벽 정리 (게양일, 조기, 시간, 위치)

광복절, 현충일 등 국경일 아침, 태극기를 달려고 할 때마다 '오늘은 끝까지 올리는 게 맞나?', '몇 시에 달아야 하지?' 헷갈릴 때가 많으시죠? 나라를 기념하는 기쁜 날과 추모하는 날의 태극기 다는 법은 명확히 다릅니다. 이 글 하나로 **태극기 게양법의 모든 것을 핵심만 쏙쏙 뽑아 완벽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 태극기 게양, 이것만 기억하세요!

✔︎ 기쁜 날 (5대 국경일 등): 깃봉과 깃면 사이를 떼지 않고

끝까지

올려서 게양합니다.
✔︎ 슬픈 날 (현충일 등): 깃면의 세로 너비만큼

내려서

게양합니다. (조기 게양)

언제 태극기를 달아야 할까요?

태극기는 법률로 지정된 국경일과 기념일에 게양하며, 크게 '깃봉 끝까지 올리는 날'과 '내려서 다는 날(조기)'로 나뉩니다.

🎉 깃봉 끝까지! (경축일 및 평일) 😔 내려서! (조의를 표하는 날)
  • 3·1절 (3월 1일)
  • 제헌절 (7월 17일)
  • 광복절 (8월 15일)
  • 개천절 (10월 3일)
  • 한글날 (10월 9일)
  • 국군의 날 및 정부 지정일
  • 현충일 (6월 6일)
  • 국장(國葬) 기간
  • 국민장(國民葬)일
  • 정부 지정일

💡 조기(弔旗)는 어떻게 다나요?

조기를 게양할 때는 바로 중간에 다는 것이 아닙니다. **먼저 깃봉 끝까지 태극기를 올렸다가, 깃면(태극기 천)의 세로 너비만큼 아래로 내려서** 달아야 올바른 방법입니다.

어디에, 어떻게 달아야 할까요?

가정에서의 게양 위치는 밖에서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대문 또는 난간의 중앙이나 왼쪽**에 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시간, 날씨, 폐기)

Q. 게양 시간은 정해져 있나요?
A. 가정에서는 보통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다는 것을 권장합니다. (동절기 11~2월은 오후 5시까지) 다만, 법적으로는 매일 24시간 게양도 가능합니다.

Q. 심한 비나 눈이 와도 달아야 하나요?
A. **아니요.** 태극기가 훼손될 우려가 있는 심한 눈, 비, 바람(악천후) 시에는 게양하지 않습니다. 날씨가 갠 후에 다시 다는 것이 좋습니다.

Q. 낡거나 훼손된 태극기는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
A. 오래되어 색이 바라거나 찢어진 태극기는 함부로 버리면 안 됩니다. 가까운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나 시·군·구청 민원실에 설치된 국기 수거함**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태극기를 올바르게 다는 것은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가장 쉬우면서도 중요한 실천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