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위키백과, AI 슬롭 콘텐츠와의 전쟁…'빠른 삭제' 규칙 도입
안녕하세요, 기로로 입니다. 오늘은 위키백과(Wikipedia)가 AI 생성 콘텐츠 증가에 대응하는 방식에 대해 전해드리겠습니다. 최근 AI 작성 도구가 확산되면서, 위키백과 편집자들은 허위 정보와 가짜 인용으로 가득한 이른바 ‘AI 슬롭(AI Slop)’ 콘텐츠와의 전면전에 나섰습니다.

⚠️ AI 콘텐츠 확산, 신뢰성 위기
위키미디어 재단 제품 책임자 마샬 밀러는 자원봉사자 커뮤니티의 대응을 “면역 체계가 새로운 도전에 적응하는 과정”에 비유했습니다. 그는 “편집자들은 콘텐츠가 중립적이고 신뢰할 수 있도록 경계하고 있다”며, AI와 같은 신기술 등장으로 인해 대응 방법을 재정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빠른 삭제’ 규칙 도입
기존 위키백과의 삭제 절차는 7일간의 토론을 거쳐야 했습니다. 그러나 새 규칙에 따르면, 관리자는 글이 명백히 인공지능으로 생성되고 제출자가 검토하지 않은 경우 즉시 삭제할 수 있습니다.
AI 생성 글의 주요 징후 3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에게 직접 말하는 표현 예: “여기 위키백과 기사입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잘못된 인용 또는 존재하지 않는 저자·출판물 언급
- 허위 참조 예: 데드 링크, 유효하지 않은 ISBN, 해결 불가 DOI
🔍 AI 작성물의 추가 특징
위키프로젝트 AI 클린업팀은 챗봇 작성 문서에서 자주 보이는 언어·형식 패턴 목록을 만들었습니다.
- 엠 대시(—)의 과도한 사용
- 특정 접속사 남용: 예) “더 나아가”
- 홍보성 표현: “숨막히게 아름답다” 등
- 직선 따옴표 대신 곱슬 따옴표·아포스트로피 사용
다만, 이러한 특징만으로 AI 작성 여부를 단정해서는 안 되며, 명확한 근거가 있을 경우에만 삭제 대상이 됩니다.
📌 종합
- AI 생성 콘텐츠 증가로 위키백과의 신뢰성 위기
- 자원봉사자·관리자, ‘빠른 삭제’ 규칙으로 대응
- AI 글의 언어·형식적 특징 목록화, 필터링 강화
반응형
'AI·미디어 활용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GPT-5와 함께 6가지 대변화 (2) | 2025.08.09 |
---|---|
OpenAI, ChatGPT 정신건강 감지 기능 강화 (2) | 2025.08.09 |
iPhone 17 완벽 분석: 혁신 업그레이드부터 세부 스펙까지 (2) | 2025.08.03 |
ChatGPT로 티스토리 글 목차 자동 생성하는 법(실전 예제 포함) (0)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