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최저(없는 대학/기준) 완벽정리
안녕하세요, 기로로 입니다. 오늘은 수능최저(없는 대학/기준)을 주제로, 부모님과 수험생이 함께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드릴게요. 매년 9월 초 수시 원서접수 주간이 다가오면 “우리 전형은 수능최저가 있는지”, “없다면 어디서 확인해야 하는지”가 제일 큰 질문이 됩니다. 저는 먼저 공식 포털과 대학 요강, 접수 사이트에서 확인하는 순서를 적어두고, 2026학년도 변화 포인트까지 차근히 덧붙였습니다. 글 속의 용어와 날짜는 모두 대교협 ‘대학 어디가(ADIGA)’·각 대학 입학처 안내를 기준으로 맞췄어요. 핵심은 “전형·모집단위별로 적용 여부가 다르다”는 사실입니다. 이 부분만 기억해도 실수가 크게 줄어듭니다.

1) 수능최저학력기준, 정확히 무엇이고 어디서 보나요?
수능최저학력기준(이하 수능최저)은 수시에서 지원자가 충족해야 하는 최소 수능 등급/합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2개 영역 등급합 5 이내, 한국사 5등급” 같은 식으로 조건을 제시하죠. 이 표기는 대학 어디가(ADIGA) 전형 정보와 각 대학 입학처 요강에 항목으로 명시됩니다. 어디가의 대학·전형 페이지를 열어보면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미적용’이 구체적으로 표기돼 있어 확인이 쉬워요. 실제 대학 페이지에서도 ‘미적용’으로 명시된 전형이 있으니, 우리 아이가 지원하려는 전형명/모집단위를 정확히 확인하세요.
예시로, 일부 대학의 학생부종합 전형 안내에는 “수능최저학력기준 미적용”이라고 명확히 적혀 있습니다. 반대로 같은 학교의 다른 전형(교과, 논술 등)에는 최저가 붙을 수 있어요. 즉, 같은 대학도 전형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전제로, 어디가/요강의 해당 줄을 꼭 확인해 주세요.

2) “수능최저 없는” 전형을 찾는 법 — 어디가 필터 & 표기 읽기
방법은 단순합니다.
① 어디가 접속 → ② 대학/전형 검색 → ③ 전형 상세정보의 ‘수능최저학력기준’ 항목 확인입니다.
이 칸이 “미적용”이면 최저가 없습니다. 실제 어디가 대학 상세 페이지에는 전형별로 “수능최저학력기준 미적용”이 반복 표기되어 있고, 필요한 경우 예외 학과(간호·의료계열 등)만 최저가 붙기도 합니다.
결국 우리 집의 체크포인트는 전형명, 모집단위(학과/캠퍼스), 예외 표기 세 가지예요.
한편, 접수 대행 사이트(유웨이·진학어플라이) 화면에서는 실시간 경쟁률을 보면서도 전형 요약을 확인할 수 있지만, 최종 기준은 어디가·대학 요강입니다. 실시간 화면의 안내 문구도 “정확한 정보는 대학 홈페이지에서 확인”을 권고하니, 마지막 결정 전엔 꼭 요강 PDF를 대조하세요.
3) 2026학년도 변화 포인트 — ‘완화/폐지 흐름’ vs ‘유지·강화 영역’
2026학년도에는 일부 주요 대학이 최저 조건을 완화하거나 일부 요소를 해제하는 흐름이 관측됩니다. 예를 들어 몇 대학이 자연계열의 선택과목 지정을 완화·폐지하고, 전형명/계열별 반영 방식의 미세 조정을 공지했습니다. 다만 이는 ‘대학·전형·모집단위별’로 상이하므로, 우리 아이가 지원하는 학과의 공식 공지를 반드시 다시 확인하세요.
반대로 의·치·약·한수(의학계열)이나 일부 논술·교과 전형은 최저 유지/강화 경향이 꾸준히 보입니다. 언론의 2026 수시 정리 기사에서도 주요 22개 대학의 최저 조합(예: 3개 합 기준 등)이 정리되어 있는데, 실제 지원에는 대학 요강이 최종본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기사/요약 자료는 흐름 파악용, 원서결제 전 확인은 요강으로 정리하세요.

4) 부모님·수험생 체크리스트 — “최저 유무” 마지막 7가지 점검
① 전형명 정확히 보기(교과/종합/논술, 전형 세부명).
② 모집단위·캠퍼스 일치 확인(같은 대학이라도 다를 수 있음).
③ 수능최저학력기준 칸의 “적용/미적용” 표기 재확인(어디가/요강).
④ 예외 학과(간호·의료계열 등) 별도 조건 유무.
⑤ 한국사·탐구 반영 방식(필수 응시/감점/평균·상위1과목 등).
⑥ 접수 사이트 안내는 참고용, 최종은 대학 요강.
⑦ 마감 전 결제 직전 한 번 더 대조(전형명/모집단위/최저/서류/마감시각).
근거 & 참고
- 대교협 대학 어디가(ADIGA) 포털(전형 정보 조회·표기 구조)
- 어디가 대학 상세 페이지(전형별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미적용’ 실제 표기 사례)
- 진학어플라이 스마트경쟁률 안내(정확한 정보는 대학 홈페이지 확인 권고)
- 2026학년도 수능최저 변화 정리(입시기관·언론 요약)
'생활 교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정보포털 어디가(ADIGA) 완벽 가이드 (2) | 2025.08.13 |
---|---|
수시 경쟁률 실시간 확인 가이드 (3) | 2025.08.13 |
2026학년도 수시 원서접수 일정 총정리 (2) | 2025.08.13 |
진학어플라이 수시 원서접수 가이드 (2) | 2025.08.13 |
유웨이 어플라이 수시 원서접수 완벽 가이드 (0) | 202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