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정책 활용법

2025년 손자녀 육아돌봄수당 총정리

gilgreen62 2025. 8. 20. 08:33
반응형

 

2025년 손자녀 육아돌봄수당 총정리

맞벌이 등 양육 공백 가정을 위한 지자체별 지원 정책, 최신 정보로 확인하세요.

손자녀 육아돌봄수당, 왜 필요한가요?

'손자녀 육아돌봄수당'은 맞벌이, 한부모, 다자녀 가정 등 부모의 직접적인 양육이 어려운 상황에서 조부모나 친인척이 손주를 돌볼 경우, 지자체에서 일정 금액의 돌봄 수당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조부모의 '황혼 육아' 부담을 덜어주고, 아이에게는 안정적인 돌봄 환경을 제공하여 저출생 시대의 중요한 양육 지원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신청 전, 공통 확인사항

지원 대상 아동

주로 만 24개월 ~ 36개월 사이의 영아가 대상이지만, 지자체별로 연령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

대부분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하지만, 경기도처럼 소득 기준을 폐지한 곳도 있습니다.

중복 지원 불가

어린이집 보육료, 아이돌봄 서비스 등 다른 정부 지원을 받는 경우 중복으로 신청할 수 없습니다. (단, 어린이집 이용 시간 외 돌봄은 인정되는 경우도 있음)

돌봄 시간

대부분 월 40시간 이상의 돌봄 활동을 증빙해야 수당이 지급됩니다.

2025년 주요 지자체별 지원 내용 비교

지역 지원 대상 (아동 연령) 지원 금액 (아동 1명, 월 40시간 기준) 주요 특징
서울 만 24~36개월 월 30만원 (2명 45만원, 3명 60만원)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4촌 이내 친인척 및 이웃 주민도 가능
경기 생후 24~48개월 월 30만원 (2명 45만원, 3명 60만원) 소득 기준 없음, 2025년 참여 시군 확대
광주 만 6세 이하 월 20~30만원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70세 이하 조부모 대상
울산 만 24~36개월 월 30만원 (2명 45만원, 3명 60만원)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2025년 신설

※ 위 내용은 2025년 발표 기준이며, 신청 시점 및 거주 지자체의 공고를 반드시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지원 대상, 금액, 신청 기간 등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및 절차

손자녀 육아돌봄수당은 대부분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

  • 온라인 신청: '정부24' 또는 각 시/도별 민원 포털 사이트(예: 경기민원24)를 통해 신청합니다.
  • 방문 신청: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 필요 서류: 신분증, 신청서, 가족관계증명서, 양육 공백 증빙 서류(재직증명서 등)가 공통적으로 필요하며, 지자체별로 추가 서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돌봄 활동 증빙을 위해 QR코드를 이용한 시간 기록이나 활동 사진 제출이 필요할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